본문 바로가기
경제

디지털 화폐란? CBDC란?

by healthy, happy life 2021. 5. 6.

 

 

디지털 화폐란?

디지털화폐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내용을 끝까지 읽어주시면 디지털화폐를 알게 되실 겁니다. 디지털화폐의 정보가 필요하면 모두 읽어주세요. 이제 밑에서 디지털화폐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디지털화폐(CBDC)는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를 줄인 말입니다

현재 중국과 미국에서는 디지털화폐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미국보다는 중국이 디지털화폐 도입에 적극적인데요 그 이유로는

달러 패권화를 이기고 디지털 화폐를 통해 중국의 힘을 키우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이 디지털 화폐를 이용하는 무대가 될 것으로

보는 분위기가 큽니다

 

중국 디지털 화폐 디지털 위안화

중국은 아시다시피 현재도 현금사용보다는 전자상거래나 앱결제 문화가 매우 발달한 나라입니다

길거리 가판대에서도 현금으로 결재를 하지 않고

qr코드로 결제를 하는 나라가 바로 현재 중국입니다

 

요즘에는 중국가서 물건을 사거나 식당가서 식사 후 계산을 할 때 현금을 내면

도리어 불편해하며 중국에서의 오프라인 거래는 주로 알리페이나 위챗페이 등을 통해

결제하는 결제시스템이  중국에서는 도시가 아닌

시골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월급을 디지털화폐로 주는 기업도 생겼습니다

또한 디지털 위안화로 대금을 지급하기도 합니다

 

알리페이나 위챗페이의 경우 개인 거래은행 계좌와 연동이 되어 있어서

현금을 찍을 필요가 없으며 이제 중국에서는 이러한 페이결제가

활발히 상용화가 되고 있기 때문에 디지털화폐를 이용하는 것에서도

매우 적극적이며 도입하려는 분위기가 매우 강한 것으로 보입니다

 

디지털화폐 개혁 장점과 단점

디지털화폐(cbdc)의 장점은 화폐 발행 비용 및 유통 관리 비용이 없어진다는 점입니다

또한 위조화폐도 있을 수 없으며 불법자금과 세금 탈세 등이 불가능해진다는

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와 관련하여 단점도 생기게 됩니다

모든 개개인의 기록들이 디지털에 전부 다 

남게 되며 개인의 일거수 일투족이 전부 낱낱이 기록된다는 점에서

사생활이 없어지고 정부로부터 개인의 자유를 침해당할 소지가 매우 높아지게 됩니다

 


 

현재 위안화의 경우 국제에서 결제되는 비중이 2%밖에 도지 않습니다

미국 달러화는 국제적으로 39%정도 이용되고 있으며 유로화가 37%정도 이용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예전부터 위안화를 국제적으로 사용되는 비중을 높이려고 했지만

달러패권화를 절대 이길수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중국의 국내총생산 GDP는 엄청난 성장을 이루었으며 10년 안에

중국의 GDP가 미국을 넘어설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디지털위안화에 대해 비민주적인 통화라고 언급하였는데요

중국 내에서 중국인들의 돈 흐름을 정부에서 파악하고 통제하기 위해서

라고 언급하였습니다

 

하지만 미국에서도 현재 MIT에서 법정 디지털 화폐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으며

실물화폐가 아닌 디지털화폐가 통용되는 시대가 곧 다가올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디지털화폐를 알려드렸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다른 것도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글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다른글 읽어보기

 

2021.05.04 - [경제] - 워렌 버핏 포트폴리오

 

워렌 버핏 포트폴리오

워렌 버핏 포트폴리오 워렌버핏 포트폴리오를 탐구해보겠습니다. 이 내용을 끝까지 읽어주시면 워렌버핏 포트폴리오를 이해하시게 될 것입니다. 워렌버핏 포트폴리오가 궁금하다면

lovestars5.tistory.com

2021.05.05 - [경제] - 기부 상속세 기부금에 대한 상속세 지불 내용 정리!

 

기부 상속세 기부금에 대한 상속세 지불 내용 정리!

기부 상속세 기부금 상속세를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문서를 끝까지 읽어주신 분들은 기부금 상속세를 알아두시는 것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기부금 상속세가 궁금하신 분

lovestars5.tistory.com

 

반응형

댓글